원기둥 부피 구하는 공식은?

원기둥 부피 공식과 계산 예시

일상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도형 중 하나가 바로 원기둥이에요.
맥주 캔, 컵, 배터리, 오일 드럼, 심지어 연필통까지도 전부 원기둥 모양으로 되어 있죠.
이렇게 우리 주변에서 자주 접하는 원기둥, 그 부피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원기둥 부피 구하는 공식을 기본부터 응용까지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원기둥이란?

본격적인 계산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원기둥의 개념을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원기둥(cylinder)은 ‘두 개의 원을 위아래로 평행하게 놓고, 그 둘을 곧은 옆면으로 연결한 입체도형’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원 모양 기둥’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원기둥은 밑면이 원이고, 옆면이 직선으로 연결된 도형이기 때문에, 부피를 계산할 때는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원기둥 부피 구하는 공식은?
원기둥 부피 구하는 공식은? V=rh

원기둥 부피 구하는 공식

원기둥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V = πr²h

여기서

  • V : 원기둥의 부피(Volume)
  • r : 밑면의 반지름(radius)
  • h : 원기둥의 높이(height)
  • π(파이) : 원주율로, 약 3.14159 또는 간단히 3.14로 계산

즉, 밑면의 넓이(πr²)에 높이(h)를 곱해주면 원기둥의 부피를 구할 수 있어요.

계산 예시로 이해하기

이론만 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니, 예시를 통해 함께 계산해볼게요.

예를 들어, 반지름이 4cm이고 높이가 10cm인 원기둥이 있다고 할 때,

V = π × r² × h
V = 3.14 × 4² × 10
V = 3.14 × 16 × 10 = 502.4(cm³)

따라서 이 원기둥의 부피는 약 502.4㎤(세제곱센티미터) 입니다.
이처럼 반지름과 높이만 알면 누구나 간단하게 원기둥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기둥 부피 공식, 왜 이렇게 되는 걸까?

단순히 외워서 쓰기보다 공식의 원리를 이해하면 훨씬 오래 기억할 수 있어요.

원기둥은 밑면이 원이기 때문에, 밑면의 넓이는 πr²로 계산됩니다.
여기에 높이(h)를 곱하면, 같은 크기의 원이 위로 높이만큼 쌓인 형태가 되죠.
즉, 원판이 h개 쌓인 도형이 바로 원기둥입니다.
그래서 밑면의 넓이(πr²)에 높이(h)를 곱하는 거예요.
이 원리를 이해하면, 원뿔이나 구의 부피 공식도 자연스럽게 이어서 이해할 수 있답니다.

실생활에서의 활용 예시

음료수 캔 부피 계산하기

  • 밑면 반지름: 3.5cm
  • 높이: 12cm

V = 3.14 × 3.5² × 12 = 약 462cm³

즉, 이 캔의 용량은 약 462ml 정도예요. 실제로 500ml 캔이 이 정도 크기죠.

물탱크나 드럼통 부피 계산
농업용 드럼통이나 오일통의 부피를 구할 때도 같은 공식을 써요.
반지름과 높이 단위만 cm → m로 바꾸면, 리터나 톤 단위로 변환도 가능합니다.

원기둥 부피 구할 때 주의할 점

  1. r은 반지름이지 지름이 아닙니다.
    지름이 주어졌다면 반지름은 지름 ÷ 2로 계산하세요.
  2. 단위 통일 필수!
    높이가 cm인데 반지름이 mm라면 단위를 반드시 맞춘 뒤 계산해야 정확한 부피가 나옵니다.
  3. 파이(π) 값 선택
    간단히 3.14를 써도 되지만, 정밀한 계산이 필요할 땐 3.14159를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원기둥 부피에서 확장되는 응용 공식

원기둥의 개념을 알면 다양한 입체도형의 부피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원뿔 부피 공식: V = (1/3)πr²h
  • 구의 부피 공식: V = (4/3)πr³
  • 속이 빈 원기둥(파이프)의 부피: π(h)(R² – r²) (R은 바깥 반지름, r은 안쪽 반지름)

즉, 원기둥 부피 공식은 입체도형 계산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공식이에요.

원기둥 부피는 수학이 아니라 ‘상식’이에요

이제 원기둥 부피 구하는 공식 완벽히 기억하셨죠?

V = πr²h, 밑면의 넓이 × 높이!

이 한 줄 공식만 기억하면, 물병 용량부터 탱크 저장량까지 직접 계산할 수 있어요.
수학 교과서 속 공식이 아니라, 생활 속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셈이죠.

다음에 음료수 캔을 보거나 드럼통을 볼 때,
“이건 반지름이 3.5cm니까 부피가 약 460ml 정도겠네!”
이렇게 감이 온다면 이미 생활 속 수학 고수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