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S 하나카드 피킹률 5-6%대 혜자카드 가입방법 할인한도 정리

MG+ S 하나카드 2025년 7월 출시 후 대박

몇년 전 신한 더 모아카드 사태와 더불어 경기침체와 겹치면서 시중에 있던 각종 혜택좋은 신용카드들은 사실상 멸종된 상태다. 그런 와중에 가뭄에 단비처럼 MG새마을금고와 하나카드가 내놓은 신용카드가 MZ세대를 중심으로 호평을 받으면서 대란이 일어났고 급기야 온라인 비대면 발급은 중단되었고 오프라인 새마을금고 지점 방문 후 출자회원이 된 뒤 발급되는 방식으로 두말만에 변경이 되었다. 이 카드 사실 따지고보면 이렇게 대란이 날 정도의 카드는 아닐 수 있지만, 요즘 같은 시기에는 분명 혜택이 가장 좋은게 맞다. 심지어 이벤트로 출자회원으로 카드 발급하시면 연회비 17,000원도 캐시백 해주고 있어서 가까운 새마을금고가 있다면 방문 추천드리는 카드입니다.

MGS 하나카드 피킹률 5-6%대 혜자카드 가입방법 할인한도 정리
MG새마을금고 신용카드 MG+ S
  • 카드명: MG+ S 하나카드 (MG새마을금고와 하나카드의 PLCC 개인신용카드)
  • 연회비: 17,000원 (국내전용, 해외겸용 Masterdcard 동일)
  • 가입 조건: 2025년 9월 현재 전국 MG새마을금고 영업점을 통해서만 발급 가능하며, 해당 지점 출자회원이 되어야 하고 결제계좌 역시 MG새마을금고 입출금 계좌로 지정해야 합니다.
  • 핵심 혜택:
    1. 간편결제 10% 청구 할인: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등 주요 간편결제로 ‘건당 1만원 이상’ 결제 시 10% 할인됩니다. 삼성페이와 연동하면 오프라인에서도 간편결제로 10% 할인혜택을 챙길 수 있어 대단히 편리합니다. (아이폰은 웁니다.)
    2. 구독 서비스 50% 청구 할인: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등 OTT 서비스와 쿠팡 와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등 디지털 멤버십 월 정기결제 시 50% 할인됩니다. 이런 혜택을 제공하는 기타 신카들은 많지만 월 한도가 3천원 5천원 1만원 이렇고 심지어 1만원 할인한도를 주는것도 전월 200만원 300만원 실적조건 달성 이런 조건이 붙는게 다라서 사실상 유명무실한 혜택으로 전락하는데 이 MGS카드는 전월 실적 30만원도 1.5만원 한도로 제공하고 있어서 대란이 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이정도면 사실 오프라인까지 가야되나 싶을 수 있는데 가장 큰 장점은 할인받은 모든 결제 건이 전월 실적에 포함된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실적을 채우기 위한 추가 소비 부담 없이 혜택을 최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 심지어 무이자 할부 결제 건도 전월실적에 산정이 될 정도로 완전무장해제 다 퍼주고 있습니다.

전월 실적별 월간 통합 할인 한도

이 카드의 모든 할인은 아래의 통합 한도 내에서 제공됩니다.

전월 이용금액월 최대 할인 한도실질 피킹률
30만원 이상 ~ 60만원 미만15,000원5%
60만원 이상 ~ 100만원 미만30,000원5%
100만원 이상60,000원6%

MGS카드 최소금액 지출 및 최대혜택 시뮬레이션 월 100만원 vs 월 30만원 사용

1. 월 100만원 사용 시 (최대 혜택 구간)

월 100만원을 사용해 피킹률 6%를 달성하는 시나리오입니다.

  • 소비 전략: 월 할인 한도 6만원을 모두 받기 위해, 간편결제로 총 60만원을 사용합니다 (60만원 × 10% = 6만원 할인). 나머지 40만원은 자유롭게 사용해 실적 100만원을 채웁니다.
  • 월별 혜택60,000원 청구 할인
  • 연간 혜택: 60,000원 × 12개월 = 720,000원
  • 연회비 차감 순이익: 720,000원 – 17,000원 = 703,000원
  • 최대 피킹률6% (60,000원 ÷ 1,000,000원)

2. 월 30만원 사용 시 (최소 실적 구간)

월 30만원을 사용해 최소 실적을 맞추는 시나리오입니다.

  • 소비 전략: 월 할인 한도 15,000원을 모두 받기 위해, 간편결제로 총 15만원을 사용합니다 (15만원 × 10% = 15,000원 할인). 나머지 15만원은 자유롭게 사용해 실적 30만원을 채웁니다.
  • 월별 혜택15,000원 청구 할인
  • 연간 혜택: 15,000원 × 12개월 = 180,000원
  • 연회비 차감 순이익: 180,000원 – 17,000원 = 163,000원
  • 최대 피킹률5% (15,000원 ÷ 300,000원)

새마을금고와 하나카드가 손잡고 만든 PLCC

MG+S카드 발급 방법 2025년 9월 현재 오프라인 창구 방문 필수

한가지 아쉬운게 이제 온라인 비대면 발급은 중단되었고 무조건 MG새마을금고 오프라인 지점을방문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솔직히 MG새마을금고에서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한 상품으로 출시했다고 보고 있는데 그만큼 새마을금고가 최근 PF부실 문제로 어려움에 처했고 가입자 이탈이나 또 예금자보호한도 1억원 상향에도 사람들이 그렇게 많이 찾지 않았다는 반증이지 않나 싶습니다.

  • 영업점 직접 방문: 카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분증을 가지고 가까운 MG새마을금고 영업점에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 신청 중단 사태: 출시 직후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 신청자가 몰리면서, 2025년 7월 24일부터 온라인/모바일 신규 발급이 전면 중단되었습니다.
  • 방문 전 확인 필요: 일부 지점에서는 카드 발급 신청 업무를 위한 태블릿PC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헛걸음을 방지하기 위해 방문하려는 지점에 미리 전화하여 발급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사전에 미리 계좌를 개설하고 방문하시면 더 빠르게 신청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가입 자격 3가지 핵심 조건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카드 발급이 가능합니다.

  1. MG새마을금고 입출금 계좌 보유
    반드시 MG새마을금고의 입출금 통장을 개설하여 이 카드의 결제계좌로 연결해야 합니다. 만약 계좌가 없다면, 영업점 방문 시 카드 신청과 함께 신규 개설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MG새마을금고 출자회원 자격
    일부 지점에서는 해당 금고의 조합원인 ‘출자회원’ 자격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출자회원이란 해당 금고에 최소 출자금(보통 1만원 이상)을 납입하여 조합원이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 조건 역시 카드 신청 시 충족할 수 있습니다.
  3. 하나카드의 신용 심사 통과
    이 카드는 MG새마을금고와의 제휴 카드(PLCC)이지만, 발급 주체는 하나카드입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하나카드의 신용카드 발급 심사 기준을 통과해야 합니다. 개인 신용평점이 낮거나 연체 기록이 있는 경우 발급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요약 및 주요 유의사항

  • 발급 절차‘새마을금고 영업점 방문 → 입출금 계좌 개설 및 출자회원 가입 → 카드 발급 신청 → 하나카드 심사 → 카드 수령’ 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 발급 지연: 신청자가 폭주하여 카드 제작 및 배송이 2주 이상 지연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 연회비 캐시백 이벤트: 2025년 10월까지 카드를 최초로 발급받는 출자회원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연회비 17,000원을 캐시백해주는 이벤트가 진행 중이므로, 신청 시 이 혜택을 챙기는 것이 유리합니다.

‘MG+ S 하나카드’는 현재 발급 가능한 카드 중 최상위권의 피킹률(5~6%)을 제공하는 것이 맞습니다. 특히 할인 적용된 금액이 실적에 포함되는 점은 다른 카드에서 찾아보기 힘든 매우 큰 장점입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삼성페이를 네이버페이로 결제하면 대부분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1만원 이상 결제 시 10% 할인을 받는 것과 같아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다만, 폭발적인 인기로 인해 일부 새마을금고 지점에서는 발급이 지연되거나 일시 중단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방문 전 미리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댓글 남기기